휴넷CEO

  • 비즈니스리뷰
  • 인사이트클립
  • 위클리픽
    • 카드뉴스
    • 브리프
  • CEO칼럼
  • 포커스온
  • CEO리포트
  • 북클럽
    • 북다이제스트
    • 리더스북
  • 먼슬리포럼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프로페서 전체보기
  • 휴넷CEO 브랜드 소개
FORESIGHT KOREA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1588-6559
휴넷CEO

휴넷CEO

로그인 해주세요

로그인
지금 가입하기
  • 휴넷CEO
  • FORESIGHT KOREA
Login

휴넷CEO

  • 비즈니스리뷰
  • 인사이트클립
  • 위클리픽
    • 카드뉴스
    • 브리프
  • CEO칼럼
  • 포커스온
  • CEO리포트
  • 북클럽
    • 북다이제스트
    • 리더스북
  • 먼슬리포럼
지금 가입하기
  • 브랜드 소개Membership 소개APP 설치
  • 공지사항자주 묻는 질문이용약관개인정보 처리방침
휴넷CEO 전용핫라인 1588-6559
(주)휴넷 대표이사 : 조영탁
사업자등록번호 : 214-86-38356 |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08-서울 구로-0308호 | 사업자정보확인
(08389)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26길 5 (구로3동 235-2) 에이스하이엔드타워 1차 8층 (주)휴넷
기업교육문의
썸네일
15min

혁신
‘팀 타이완’ 모델, 한국에도 적용될 수 있을까?

젠슨 황과 모리스 창은 기술에 대한 집념과 신뢰라는 공통의 가치로 30년 간 강력한 파트너십을 유지했다. 이를 바탕으로 시작된 ‘팀 타이완’은 강력한 실체를 가진 밸류 네트워크 확장됐다. 반면 한국은 아직 협력 모델을 구체화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이 약진하는 위기 속에 ‘팀 코리아’는 가능할까? 경쟁보다 파트너십 전략으로 절실한 시점이다.
조회수 686오늘
정혜진서울경제신문

정혜진 기자

서울경제신문

썸네일
14min

혁신
실물경제로 진입하는 스테이블 코인

법정화폐나 자산 가치에 연동해 가격 안정성을 확보하는 암호화폐, 스테이블 코인이 각국의 규제 아래 제도권 금융 인프라로 편입하고 있다. 미국, EU, 홍콩에서 관련 규제법이 시행되며 글로벌 결제, 무역 정산, 기업 재무 운영 등으로 활용이 확대 중이다. 기업 역시 목적 설정, 인프라 확보, 고객 경험 설계 등 단계적 도입 전략이 필요하다.
조회수 7441일 전
김선미동국대학교

김선미 교수

동국대학교

썸네일
9min

인문
장량, 술가(術家)의 품격을 말하다

장량은 위기의 시대에 지도자의 그림자가 되어 전략을 설계한 인물이다. 전면에 나서기보다는 조용히 주군의 결단을 도왔으며, 때를 알고 물러날 줄 아는 지혜까지 갖춘 인물이었다. 격변의 시기, 경영자의 의사결정 파트너는 어떤 존재여야 하는가. 장량의 모습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조회수 1,0095일 전
이한우논어등반학교

이한우

논어등반학교

썸네일
12min

인문
앨프리드 W. 크로스비 《수량화 혁명》: 숫자가 지배하는 세상

세상은 점점 더 숫자로 환원된다. 시간과 돈을 숫자로 측정하면서 수량화는 세상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중세 말 유럽에서 시계와 화폐, 복식부기, 원근법, 지도, 악보 등은 시공간을 수량화하고 시각화하는 혁신의 상징이었다. 그리고 경제적 효율성을 높여 회계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사회의 주역으로 끌어올렸다. 오늘날 경영에서도 수량화된 데이터를 해석하고 시각화하는 역량은 전략적 사고와 실행의 열쇠가 된다.
조회수 7486일 전
조영헌고려대학교

조영헌 교수

고려대학교

썸네일
16min

경영
AI는 도구일 뿐, 경영의 본질을 질문하라!

AI 도입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지만, 성과는 AI 자체가 아니라 이를 활용하는 사람의 전략과 통찰에 좌우된다. 과거의 신기술이었던 ERP, 빅데이터처럼 AI도 그저 따라 하기만 해서는 성과를 낼 수 없다. 본질은 ‘무엇을 위해, 어떻게 쓸 것인가’를 묻는 경영자의 질문에 있다. AI는 지능 그 이상을 요구하는 ‘경영’의 도구일 뿐이다.
조회수 1,0751주일 전
송경모㈜미라위즈

송경모 대표

㈜미라위즈

썸네일
16min

혁신
생명이 터득한 대규모 혁신의 원리

일반적으로 진화는 우연한 변이가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해 후손으로 이어지는 점진적 과정을 말한다. 하지만 생명의 역사에는 이 과정으로 설명할 수 없는 ‘대진화’가 존재했다. 최근 유전학이 밝혀낸 대진화의 과정은, 위기와 기회가 혼재된 환경에서 기존 자원과 구조를 재조직해 혁신을 이끌어내는 조직의 진화 원리와 너무나 닮아있다.
조회수 8442025.09.08
서광원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

서광원 소장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

썸네일
11min

인문
되새김질하는 생명, 되새겨야 하는 공생

소가 풀만 먹고도 거대한 몸집을 유지하는 비결은 미생물과의 정교한 공생이다. 지구상의 생명은 모두 미생물과의 공생을 통해 유지된다. 자연이 생태계를 유지하는 기본 메커니즘이 협력과 보완이기 때문이다. 조직도 마찬가지다. 보이지 않는 협업 시스템, 서로를 보완하는 전략은 오래도록 성장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조회수 8952025.09.04
김응빈연세대학교

김응빈 교수

연세대학교

썸네일
11min

리더십
통치자를 위한 실천적 지혜, 프로네시스

복잡하고 분열된 사회에서 리더에게 필요한 덕목은 중용을 실현해내는 지혜, 프로네시스다.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공동체 전체의 이익과 균형을 위해 판단하고 행동하는 능력을 뜻한다. 새 정부의 지도자와 현재를 살아가는 모든 경영자가 프로네시스의 미덕을 발휘하기를 바란다.
조회수 1,0532025.09.03
박찬국서울대학교

박찬국 교수

서울대학교

썸네일
10min

경영
닛산, 탁월한 전략에도 성과가 나지 않은 이유

닛산은 혁신과 글로벌 수익을 목표로 야심찬 전략을 세웠지만, 핵심역량 부재, 조직 내 갈등, 현장 실행력 부족으로 실패했다. 실행력이 없는 전략은 공허하다. 그리고 실행력은 강한 리더십, 조직 통합, 현장과의 정렬에서 비롯된다. 전략에 앞서 실행 역량과 구조를 먼저 점검해야 하는 이유다.
조회수 1,2862025.09.02
이동현가톨릭대학교

이동현 교수

가톨릭대학교

썸네일
11min

트렌드
홈 익스텐션, 은퇴 후 출근하는 집

‘홈 익스텐션’은 은퇴자들이 도심 속에서 일상과 사회적 접점을 지속할 수 있게 해주는 소형 공간의 개념이다. 고립을 피하고, 자기다움과 관계를 유지하려는 X세대 시니어에서 시작되어 관심을 얻고 있다. 홈 익스텐션은 단순한 복지 공간이 아니다. 사회적 역할과 교류를 위한 도시 인프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공유형 서비스, 커뮤니티 기반 사업 등 새로운 시장도 창출할 수 있다.
조회수 1,5522025.09.01
조성익홍익대학교

조성익 교수

홍익대학교

썸네일
10min

경영
가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O-Ring 이론

우주왕복선 챌린저호는 작은 부품이었던 오링(O-ring)의 결함으로 폭발했다. 이를 바탕으로 탄생한 '오링 이론'은, 제품은 가치는 부품의 '합'이 아닌 '곱'으로 결정된다는 통찰을 담고 있다. AI가 산업을 압도하는 듯 보여도 유연성과 완성도가 요구되는 영역에서 인간의 경쟁력은 계속 유효할 것이다. 제품과 조직의 가치는 ‘결정적 완성도’가 좌우하기 때문이다.
조회수 1,4292025.08.28
한순구연세대학교

한순구 교수

연세대학교

썸네일
10min

혁신
블록체인이 만드는 경영의 진화: 조직 없는 조직화

블록체인은 조직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기술이다.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은 단순한 기술을 넘어 조직 운영 방식에 근본적 전환을 요구하고, 탈중앙화 원리는 신뢰, 보상, 소통, 의사결정까지 전통 조직의 틀을 해체한다. 경영자는 수직적 조직 대신, 자율성과 내재적 동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협업 모델을 이해하고 설계해야 한다.
조회수 1,1632025.08.27
노상규서울대학교

노상규 교수

서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