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17min

도덕과 성과의 딜레마, ESG 경영

0
8
ESG는 경영 철학의 진화 속에 등장한 현상으로, 앞으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도덕적으로 완벽하라는 ESG 요구는 기업의 현실적 운영과 성과 창출에 역효과를 낼 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트럼프의 반ESG 정책은 이상보다는 결과 중심 도덕을 택한 결과이며, 비현실적 낭만주의에 대한 경계로 보인다.
썸네일 이미지
#경영철학#ESG#피터드러커#결과중심경영#회계의확장
8
--:--
--:--
Professor

송경모 대표

㈜미라위즈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주)미라위즈 대표이자 (재)강암서예학술재단 상임이사, 도서출판 아석재 대표를 맡고 있다. 고려대와 한국외대에서 겸임교수로 재직하며 교육과 연구에 매진했으며, 금융 및 투자 분야에서도 다양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쌓아왔다. 저서로는 《AI 앞에 선 경영자의 선택 리버럴 아트》, 《세계사를 뒤흔든 생각의 탄생》 등이 있다.
후기
첫 후기를 남겨주세요